728x90
반응형
이송계의 축방향탄성변위와 강성은 볼스크류축의 강성과 지지베어링, 볼스크류 너트의 강성, 그리고 지지베어링의 설치부의 강성의 합으로 계산된다.

δ : 이송 스크류계의 축방향탄성변위량(μm)
Fa : 이송 스크류계에 걸리는 축방향 하중(N)
KT : 이송 스크류계의 축방향강성(N/μm)
KS : 스크류축의 축방향강성(N/μm)
KN : 너트의 축방향강성(N/μm)
KB : 지지베어링의 축방향강성(N/μm)
KH : 너트 및 베어링설치부의 축방향강성(N/μm)
스크류축의 축방향강성 : KS
(a)고정-자유단(축방향)의 경우


KS : 스크류축의 축방향강성(N/μm)
A : 스크류축의 단면적(mm2) A = π x dr2 / 4
dr : 스크류축 곡경(mm)
E : 종탄성계수 (E = 2.06 × 105 MPa)
x : 하중작용점간 거리(mm)
반응형
'이송계의 설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볼스크류의 수명계산 (0) | 2024.07.17 |
---|---|
베어링의 수명계산 (0) | 2024.07.15 |
가속도 G와 가감속 시정수(t1, t2) (0) | 2024.07.15 |